-
[오늘의 노트필기] 마가복음 정리(2)-참된 복음의 시작오늘의 노트필기 2020. 5. 8. 06:00
오늘의 노트필기 - 마가복음(2)
8. 본문 해설(exegesis and exposition)
(1) 참된 복음의 시작 (마가복음 1장 1절)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이라(개역개정)
아르케 토 유앙겔리온 이에수 크리스토 휘우 데우 [헬라어]
->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복음 입문(시작) [헬라어 직역]
A. 유앙겔리온 – 복음, cf. Good News / Gospel
*기독교에서 먼저 쓰이던 단어가 아니었다?!
-유대적 배경에서의 복음[구약(칠십인역)]
[좋은 소식을 전하며 평화를 공포하며 복된 좋은 소식을 가져오며 구원을 공포하며 시온을 향하여 이르기를 네 하나님이 통치하신다 하는 자의 산을 넘는 발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 (이사야 52장 7절)]
-> 하나님의 통치를 좋은 소식으로 받아 들였던 유대인 / 예수 그리스도의 통치(다스림)의 시작
-그레코-로마적 배경
ex.프리에네 달력 비문(Priene Calendar Inscription, BC 9년, 현재 베를린박물관)
... and since the birthday of the god Augustus was the beginning of the news for the world that come by reason of him. ...
[이 비문에서는, 로마황제 아우구스투스가 평화를 가진 세계의 가르침의 주 이며, 신과 같은 황제의 탄생일이 세계에 있어서 복음의 시작이라는 주장이 적혀있다.]
-> 로마의 황제가 곧 신이며 위대한 존재로 여겨지던 시기에 쓰여진 마가복음에서 예수님을 ‘복음의 시작’으로 소개하는 것은 엄청난 도전이었으며, 예수님께서 유일한 복음 되신다는 고백의 의미가 담겨져 있다.
B. 휘우 데우 – 하나님의 아들
휘우는 아들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데우는 신, 하나님 의 뜻을 가지고 있음
로마 황제에게 붙는 경칭이 Divus(신성한, 신격화된 존재)였다.
->신적인 존재를 표현 할 때 로마인, 이방민족들에게 익숙했던 칭호였다.
C. 크리스토 – 그리스도(기름부음 받은 자)
[여호와께서 그의 기름 부음을 받은 고레스에게 이같이 말씀하시되 내가 그의 오른 손을 붙들고 그 앞에 열국을 항복하게 하며 내가 왕들의 허리를 풀어 그 앞에 문들을 열고 성문들이 닫히지 못하게 하리라 (이사야 45장 1절)]
->구약에서의 마샤흐(기름 부음을 받은 자, 메시아, 왕)[히브리어]를 헬라어로 번역한 것이 크리스토이며 유대인들에게 익숙했던 칭호였다.
D. 두 세계의 고백 : 크리스토(그리스도)-유대인을 위한 예수 + 휘우 데우(신/하나님의 아들)-이방인을 위한 예수
[또 물으시되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베드로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는 그리스도시니이다 하매 (마가복음 8장 29절)]
[예수를 향하여 섰던 백부장이 그렇게 숨지심을 보고 이르되 이 사람은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 하더라 (마가복음 15장 39절)]
->유대인이었던 베드로의 고백과 유대인이 아닌, 이방인이었던 백부장의 고백을 통해 마가복음의 1장 1절이 유대인 뿐만 아니라 이방인에게도 예수님께서 어떤 분이신지 확실히 알 수 있도록 표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새례요한 (마가복음 1장 2~8절)
*왜 모든 복음서에는 세례요한이 예수님 앞서 혹은 예수님의 공생애에 앞서 등장할까? (ex. 마태복음 3장 1~3절; 누가복음 1장 5절~13절; 요한복음 1장 6절~8절)
구약성경(the Old Testament)의 엔딩 : [보라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내가 선지자 엘리야를 너희에게 보내리니 그가 아버지의 마음을 자녀에게로 돌이키게 하고 자녀들의 마음을 그들의 아버지에게로 돌이키게 하리라 돌이키지 아니하면 두렵건대 내가 와서 저주로 그 땅을 칠까 하노라 하시니라 (말라기 4장 5~6절)]
[이 말을 너희에게 한 그 사람은 어떤 사람이더냐 그들이 그에게 대답하되 그는 털이 많은 사람인데 허리에 가죽 띠를 띠었더이다 하니 왕이 이르되 그는 디셉 사람 엘리야로다 (열왕기하 1장 8절)]
[요한은 낙타털 옷을 입고 허리에 가죽 띠를 띠고 메뚜기와 석청을 먹더라 (마가복음 1장 6절)]
(cf. 마태복음 3장; 누가복음 1장 5절~80절; 3장 2절~22절; 요한복음 1장 6절~42절; 3장 22절~30절)
-> 구약말씀의 성취, 세례요한의 모습은 엘리야의 모습을 연상케 한다.
(3) 세례요한의 사역 (마가복음 1장 2~3절)
[선지자 이사야의 글에 보라 내가 내 사자를 네 앞에 보내노니 그가 네 길을 준비하리라 광야에 외치는 자의 소리가 있어 이르되 너희는 주의 길을 준비하라 그의 오실 길을 곧게 하라 기록된 것과 같이 (마가복음 1장 2~3절)]
[내가 사자를 네 앞서 보내어 길에서 너를 보호하여 너를 내가 예비한 곳에 이르게 하리니 (출애굽기 23장 20절)]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보라 내가 내 사자를 보내리니 그가 내 앞에서 길을 준비할 것이요 또 너희가 구하는 바 주가 갑자기 그의 성전에 임하시리니 곧 너희가 사모하는 바 언약의 사자가 임하실 것이라 (말라기 3장 1절)]
[외치는 자의 소리여 이르되 너희는 광야에서 여호와의 길을 예비하라 사막에서 우리 하나님의 대로를 평탄하게 하라 (이사야 40장 3절)]
*혼합인용문을 쓰면서 왜 이사야의 글이라 했을까?
[아름다운 소식을 시온에 전하는 자여 너는 높은 산에 오르라 아름다운 소식을 예루살렘에 전하는 자여 너는 힘써 소리를 높이라 두려워하지 말고 소리를 높여 유다의 성읍들에게 이르기를 너희의 하나님을 보라 하라 (이사야 40장 9절)]
-> 아름다운 소식을 전했던 인물로서 이사야의 이름을 대표로 언급한 것으로 본다.
(4)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시는 예수님 (마가복음 1장 9~11절)
*죄 없으신 예수님께서 왜 세례를 받으셨을까?
[곧 물에서 올라오실새 [1]하늘이 갈라짐과 [2]성령이 비둘기같이 자기에게 내려오심을 보시더니, 하늘로부터 소리가 나기를 [3]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 하시니라 (마가복음 1장 10절~11절)]
-> 갈라짐의 헬라어로는 [스키조메누스]를 사용하는데 이는 신적 수동태(passivum divinum)로 불린다. 이 단어는 마가복음 15장에 ‘이에 성소 휘장이 위로부터 아래까지 찢어져 둘이 되니라’의 ‘찢어져’에도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 예수님께서 이사야 61장을 말씀하신 장면이 나오는 누가복음 4장 17절~19절에서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기름을 부으시고’ 의 단어와 연결 시켜 보았을 때 예수님의 세례는 마가복음의 첫 문장(1장 1절)을 증명하는 사건으로 볼 수 있다.
(5) 시험을 받으시는 예수님 (마가복음 1장 12~13절)
[성령이 곧 예수를 광야로 몰아내신지라 광야에서 사십 일을 계시면서 사탄에게 시험을 받으시며 들짐승과 함께 계시니 천사들이 수종들더라 (마가복음 1장 12절~13절)]
-> 광야, 사십 : 구약에서 이스라엘의 옛 출애굽 사건을 기억하게 하는 출애굽 모티프로써 하나님 나라가 시작될 것을 알려주고 있다.
->들짐승과 함께 계시니: [그 때에 이리가 어린 양과 함께 살며... , 그 날에 이새의 뿌리에서 한 싹이 나서 만민의 기치로 설 것이요... (이사야 11장 6절, 10절)]이사야 11장의 말씀에서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설명하는 것들이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심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구절
-출처-
김태섭, 『마가복음』 수업 강의 안
데이브드 A. 드실바, 『신약개론』 - 마가복음, 김경식 외 공역, CLC
-작성자-
황은찬
'오늘의 노트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노트필기] 마가복음 정리(4)-누가 안식일을 지키는가 (0) 2020.05.29 [오늘의 노트필기] 마가복음 정리(3)-하나님 나라의 정의 (0) 2020.05.14 [오늘의 노트필기] 마가복음 정리(1)-마가복음을 알아보자 (0) 2020.04.30